728x90
반응형
아이를 잘 키우고 싶지만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혼자서 잘 해줬으면 하는데 혼자 잘 하게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자기주도 학습에 대해서 김성곤교수(완벽한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저자)의 수업을 듣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자기주도 학습의 본질
- 자기주도 학습이란 단순히 혼자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공부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 대치동 학생들이 특별한 공부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학습 태도가 다르다.
-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부모의 학습 태도와 정서가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2. 공부를 잘하는 결정적 요인
- 유전 vs 환경 논쟁
- 유전자는 공부에 영향을 주지만, 환경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히 엄마의 행동과 말투, 태도가 아이의 학습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 흙수저의 되물림 문제
- 부모가 "건강하기만 하면 돼", "명문대 안 가도 돼"라고 말하면 아이의 학습 동기가 약해진다.
- 아이가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정보 과부하와 부모의 문해력
- 부모가 너무 많은 정보를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 문제다.
- 전문가마다 말이 다를 수 있으니 아이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아야 한다.
- 교육제도가 바뀌어도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본질을 알고 꾸준히 공부하는 아이들이다.
4. 공부법보다 본질이 중요하다
- 학원, 문제집, 형광펜 사용법 같은 공부법에 집착하기보다 각 과목별 공부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를 들어, 수학의 개념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면 문제풀이를 많이 해도 효과가 없다.
결론
공부를 잘하는 것은 재능보다 환경과 태도가 더 중요하다.
부모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아이 스스로 학습의 본질을 깨닫도록 도와주는 것이 자기주도 학습의 핵심이다.
728x90
반응형
'수업듣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는 방법 1.문해력이 떨어지는 이유? (23) | 2025.03.19 |
---|---|
하와이 대저택 벤치마킹...따라해보자~! (8) | 2025.03.19 |
2025년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6) | 2025.01.29 |
뇌 가소성으로 시작하는 삶의 변화 (52) | 2024.12.24 |
개인사업자가 알아야 하는 노무의 모든 것! (5) | 2024.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