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로지도상담사

🌟진로가 없는 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뿐이에요

by 트릴리문 2025. 4. 17.
728x90
반응형

 

💬 “꿈이 뭐야?” 물어보면 말문이 탁 막히는 아이에게

“저는 과학자가 꿈이에요. 근데… 뭘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꿈이라는 단어 자체가 막연하고 부담스러워요…”

이런 아이들의 진짜 속마음, 한 번쯤 들어보신 적 있지 않으신가요?
혹시 우리 아이도 이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면, 오늘 강의 내용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진로 고민의 시작: ‘북극성’을 찾아라!

🧭 진로 여정을 항해에 비유한다면?

  • 지도: 단기 목표
  • 나침반: 중기 목표
  • 북극성: 변하지 않는 장기 목표

폭풍우가 와도, 북극성이 있으면 방향을 다시 잡을 수 있어요.
우리 아이에게도 '북극성 같은 꿈'이 있을까요?


✅ STEP1. 진로 목표 유형 진단해보기

진단표를 통해 우리 아이의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 목표가 없는 유형

  • 아예 생각 안 해봤다
  • 언젠간 생기겠지
  • 괴롭고 피하고 싶다
  • 방법을 모르겠다

🎯 목표가 있는 유형

  • 명확하고 노력 중!
  • 있지만 희미하거나 자주 바뀜
  • 친구 따라, 부모님 따라 설정한 목표

✔️ 1~3개 항목에 체크해보는 것만으로도, 아이의 진로 인식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요.


💡 STEP2. 진로 교육의 진짜 역할?

공부하는 이유를 ‘성적’이 아닌 ‘목표’에서 찾도록 도와주는 것!
단순히 적성을 찾는 데 그치지 않고,
"왜 공부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게 해줘야 해요.

“공부는 잘하지만, 꿈이 없어요.”
“꿈은 있지만, 노력하지 않아요.”
—> 이 둘 다, 진로 교육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STEP3. 진로 점검 기준표로 꿈 히스토리 만들기

예시: 한 학생의 진로 여정

꿈가족 지지정보 탐색준비 정도결과
축구 선수 ❌ 없음 ❌ 없음 ❌ 없음 지속 실패
가수 ❌ 반대 ✅ 약간 ✅ 있음 지속 실패
작가 → 국어 교사 ✅ 있음 ✅ 있음 ✅ 있음 최종 결정

🔎 이렇게 구체적인 점검을 통해
👉 현실과 꿈 사이의 접점을 찾는 과정이 진짜 진로 탐색입니다.


💬 밥상머리 대화 팁: 이 질문부터 해보세요!

  1. 요즘 가장 흥미 있는 건 뭐야?
  2. 누구처럼 되고 싶어? 왜?
  3.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그걸 위해 뭘 하고 싶어?
  4. 네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뭐야? (예: 돈, 안정, 명예, 재미)

🎥 광고 전문가가 들려준 현실 조언

“광고는 창의성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에요.
논리, 관찰력, 정보 분석력, 협업 능력…
그게 진짜 실력입니다.”

아이들에게 현실적인 직업 정보도 꼭 함께 전달해주세요!
환상이 아닌 현실적인 희망을 꾸는 게 중요하니까요.


✨ 오늘의 핵심 정리

구분핵심 내용
🔍 진단 목표 유형 진단표로 아이의 진로 인식 상태 파악
💡 동기 진로는 '왜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이 된다
🗺 기준 진로 정검 기준표로 구체적인 꿈 히스토리 만들기
🎯 실천 아이와 함께 진로 점검 → 방향 잡기 → 실행 계획 세우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