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읽고, 이해하고, 써내는 힘을 넘어서
1️⃣ 문해력의 진짜 의미
- 예전(19~20세기) 문해력: 글을 읽고 쓰는 기본 기능 중심.
- 지금(21세기) 문해력:
- 글을 스스로 이해하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
💡 "스스로"라는 게 핵심이에요!
남이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내가 중심이 되어 의미를 파악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힘!
2️⃣ 읽는다는 건 이해하는 것
- 읽는 것 = 단순한 decoding 아님!
- 스스로 의미를 파악해야 진짜 읽는 것.
- 중요 내용을 비판적 사고로 판단하고, 핵심을 뽑아내는 활동도 포함됨.
3️⃣ 쓰는 건 표현 + 문제 해결
- 단순히 글을 쓰는 게 아니라,
내가 이해하고 판단한 걸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내는 활동.
4️⃣ OECD가 말하는 문해력
"자신의 목표를 이루고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텍스트를 이해하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
이건 단순한 독서능력 아니고,
21세기 생존능력!
5️⃣ 문해력이 중요한 이유
- 세상은 너무 빨리 변해요. 📈
- 매년 20%씩 새로운 지식 증가 = 30년 후에는 256배!
- 혼자 공부하고 끝나는 시대 끝! 이제는:
- 협업 + 소통 + 스스로 학습 능력이 핵심.
6️⃣ 스마트폰이 문해력을 깎아먹는다?!
- 2009년 이후 OECD 문해력 점수 ↓
- 이유: 스마트폰 사용 급증!
- 읽기 시간 줄고, 깊이 있는 이해 어려워짐.
- 영상 + 자극적인 콘텐츠에 익숙해져서 책에 집중하기 어려워요.
7️⃣ 전자책 vs 종이책
- 전자책은 빠르게, 얕게 읽게 됨.
- 종이책은 깊이 있게 몰입 가능.
- 이유? 스크롤링 때문에 디지털은 자꾸 '훑고 넘기기'에 익숙해짐.
8️⃣ 아이들에게 문해력 키워주려면
✅ 책을 억지로 읽히지 말고
✅ 관심 있는 주제부터 시작하고
✅ 깊이 있게 반복해서 읽기
✅ 부모가 먼저 책 읽는 모습 보여주기 (환경이 중요!)
9️⃣ 문해력 = 어휘력 + 생각하는 힘
- 어휘력 부족하면 이해 자체가 어려워요.
- 책 읽기 전: 주요 어휘 먼저 같이 훑기.
- 책 읽은 후: 질문하기 + 스토리로 정리하기
- '독후감' 대신 질문노트 추천!
🔟 문해력은 곧 ‘삶을 스스로 꾸려갈 힘’
- 2030년 교육의 핵심: 주도성 (agency)
- 문해력은 자기주도학습의 핵심 기반
- 어떤 직업, 어떤 사회에서도 살아남는 힘은 스스로 배우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능력!
📝 마무리하며: 긴 호흡, 짧은 루틴
- 한 번 몰아서 읽기보다 매일 15분씩 읽기가 중요.
- 문해력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게 아니에요.
생활 습관이 돼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수업듣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검색 유입 키워드 확인 방법 (2) | 2025.04.15 |
---|---|
✍️ 나를 살리는 글쓰기 – 단어 하나로 시작하는 자기치유 (3) | 2025.04.15 |
📄 생기부(학생부)에 독서활동은 어떻게 반영될까? (6) | 2025.04.11 |
📚 부모의 역할, 진짜는 이것입니다! (2) | 2025.04.08 |
🌍 글로벌 시대 – 자존감, 다름의 인정 그리고 행복의 조건 (3) | 2025.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