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상훈 강사님의 새내기 학부모 독서 아카데미 강연 정리
1. AI, 드디어 우리의 일상 속으로!
- “지브리 스타일 사진, 안 써본 사람 찾기 어려워요!”
- 과거엔 ‘4차 산업혁명’이 남 일 같았다면, 지금은 AI가 나의 일상 깊숙이 들어옴.
- 예: 인스타그램, 카톡 프로필 사진 → 미드저니/ChatGPT 기반 생성 이미지!
👉 지금은 AI와의 거리 ‘0cm 시대’
2. 10년 전, ‘공상과학’이라던 것들이 현실로
- 화성 여행도 “가능성 있다”는 분위기!
- 과거엔 ‘저건 영화 얘기야~’ → 지금은 ‘어, 진짜 가능하겠는데?’
- AI는 이미 몰입(Deep Dive)했고, 세상은 경계가 사라지는 중!
3. AI는 도구일까, 결정권자일까?
-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는 단순 유행이 아님.
- AI가 만든 콘텐츠에 우리가 반응하고, 중독되며,
- AI가 추천한 자극적인 콘텐츠에 비판 없이 소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
🧠 비판적 사고력의 부재가 문제!
✏️ 그래서 “Back to the Book(책으로 돌아가자)” 메시지 강조!
4. 세스(CES) 2025 키워드: 인간 중심 AI
- 예전 CES: “우리 기술 최고예요~”
- 지금 CES: “소비자 경험 기반 AI 서비스가 핵심!”
- NVIDIA CEO 젠슨황도 ‘리더십’을 키워드로 강조
AI를 잘 다루는 사람이 1인이 20인의 일을 하게 되는 시대
📌 핵심 역량은? 자기 통찰력, 비판적 사고, 창의성
5. 우리가 살게 될 AI 융합 사회는?
변화 전변화 후
직업이 나눠져 있었음 | 여러 역할을 1인이 수행 |
기술이 별개로 발전 | 기술+서비스+일상이 통합 |
전문가만 전문가 | AI를 잘 다루면 누구나 전문가 |
예:
- 드론 날림 → AI가 판단하고 조종
- 음악 제작, 영상 편집 → AI가 뚝딱
- 소설, 마케팅 글쓰기 → ChatGPT가 대체
6. 10년 뒤, 우리 아이가 맞이할 세상은?
- “AI 로봇 간호사가 부모님을 케어한다면?”
- “자녀가 홀로그램, 혹은 AI와 결혼하겠다고 한다면?”
지금은 ‘헉!’ 할 일도 10년 뒤엔 자연스러운 일상이 될 수도 있음.
7.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 AI에 대한 기술 이해가 아닌 ‘사고력 기반의 리터러시’가 필요
- AI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자
- AI가 제안한 결과에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기
- 아이가 AI를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
💡 AI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인간적인 감각, 통찰, 창의력, 도덕성을 놓치지 말 것!
✍️ 블로그를 위한 마무리 멘트
지금의 우리는 ‘AI 시대의 첫 세대 부모’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AI의 노예가 아닌, AI를 다루는 주체로 설 수 있도록,
지금부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따뜻하게, 똑부러지게’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
'수업듣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시대, 교육과 진로의 변화 (3) | 2025.04.19 |
---|---|
📚 “모국어가 생각의 힘이다!” (7) | 2025.04.15 |
🔍 검색 유입 키워드 확인 방법 (2) | 2025.04.15 |
✍️ 나를 살리는 글쓰기 – 단어 하나로 시작하는 자기치유 (3) | 2025.04.15 |
📚 21세기 문해력, 왜 이렇게 중요할까? (9)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