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도구(툴)**는 모델의 뇌를 빌려 쓰는 껍데기, 우리는 그 껍데기를 갈아끼우며 프롬프트로 그림→영상까지 뽑아내는 법을 배웠다!
1) 오늘 핵심 흐름
- 툴 vs 모델
- 모델: AI ‘뇌’ (학습된 엔진)
- 툴: 그 뇌를 붙여서 쓰는 프로그램/서비스(예: Sora, Gemini 등)
- 멀티미디어의 종착점은 영상 → 그래서 오늘은 이미지에 집중(다음 차시에 영상).
- 수업 운영: 갤러리(샘플) 둘러보고 마음에 들면 좋아요로 북마크 → 나중에 Likes에서 모아서 보기.
2) 주요 도구별 포인트
- Sora(소라): OpenAI의 이미지/영상 생성.
- 갤러리 새로고침(F5)하면 계속 업데이트.
- 샘플 열면 Prompt 보기/복사 가능.
- Edit Prompt: 프롬프트를 고쳐 ‘새 그림’ 생성(스타일도 확 바뀔 수 있음).
- Remix: 기존 그림의 핵심을 유지하면서 요소만 추가/변경(모자 씌우기 등).
- 무료는 공개 갤러리 공유됨(프로는 공개/비공개 선택).
- Gemini(제미나이): 속도 빠름, 동일성 유지가 강점(“떨어져 서게 해줘” 같은 지시도 얼굴 유지).
- 사진 2장 합성, 표정 변경(“웃게 해줘”, “눈 떠”) 등 즉시 반영.
- 도구 > 이미지 생성에서 키워드 나열만으로도 생성.
- ImageFX(구글): 아주 단순·빠름. 프롬프트 넣고 스타일(포토/페인팅/스케치)만 클릭 → 4장씩 우수수.
- Stable Diffusion/Leonardo: 커스터마이즈(전자는 오픈소스), 미드저니급 대안(레오나르도, 무료 크레딧).
3) 프롬프트 작문 레시피(그림 잘 나오는 공식)
[주인공/행동] + [장소/시간] + [스타일] + [색감/분위기] + [기술요소] + [출력타입]
- 예(실사):
“모자를 쓴 소녀가 여름 바닷가에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사진으로. 따뜻한 톤, soft lighting, 4K” - 예(일러스트):
“고양이 기타 연주, 네온사인 거리, 애니메이션 스타일, 선명한 색감, 라인 깨끗하게”
팁
- 사진/그림을 끝에 꼭 박아주기(원하는 결과물 타입 고정).
- 4K(고해상도) 자주 활용.
- 지브리/픽사 등 고유 스타일 명시는 법적 이슈 소지 → 회피 권장(“일본 애니풍”처럼 우회).
4) 이미지 만들기 3가지 루트(실전)
- 문장형: 위 레시피대로 완성 문장.
- 키워드 나열형(도구의 ‘이미지 생성’ 모드): “고양이, 기타, 네온사인, 선글라스, 가죽 재킷, 4K, 포토”
- 참고 이미지 업로드 → 영어 프롬프트 자동 추출
- 스톡/직접 사진 올리고 “이 사진을 그림으로 그리도록 영어 프롬프트 만들어줘” → 고급 프롬프트 복사해 다른 툴에 이식.
5) 생성 후 편집·학습
- 부분 수정: 붓으로 영역 선택 후 “얼굴 정면으로”, “강아지 추가” 등 국소 편집.
- 좋아요/별로예요: 모델에 피드백 학습(다음 결과 개선).
- 대기 길면: 새 채팅으로 병렬처럼 업무 분산(실제 병렬은 아님).
6) 색칠공부본 만들기(수업/가정용 꿀활용)
- 완성 이미지 업로드 → 스타일: 색칠 놀이책 + 단순화
- 크게 저장해 인쇄 → 휴대폰 대신 ‘집중 놀이’로 활용 굿.
7) 권리·안전 메모(중요)
- 강의 내용 기준: “AI가 만든 이미지 자체엔 저작권이 없다”는 관점 소개.
- 다만 법/정책은 국가·시기별로 달라지고 변동 중이니, 상업 사용 전 이용 약관·라이선스 확인은 필수!
- 인물/브랜드는 초상권·상표권 유의.
- 실사용 땐 데이터 보관 끄기(ChatGPT/Gemini 설정) 등 개인정보 보호 옵션 활용 권장.
8) 오늘의 3분 미션(바로 따라하기)
- 실사 1장: “가을 숲길을 달리는 코커스패니얼, 포토, soft lighting, 4K”
- 키워드형 1장: “데이지, 역광, 얕은 심도, 보케, 매크로, 포토, 4K”
- 리믹스 1회: 완성본에서 Remix로 “바람에 꽃잎 날리게” 추가
9) 수업 Q&A 포인트(요지)
- Edit Prompt = 새 스타일로 재생성 / Remix = 기존 주인공 유지하며 요소 추가
- Gemini: 합성·표정/포즈 변경·동일성 유지가 빠르고 쉬움
- Sora: 갤러리 좋아요로 수집, 프롬프트 복사해 재활용
- ImageFX: 초보·수업용으로 속전속결
728x90
반응형
'AI활용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차시 - 1강 인공지능의 개요 (0) | 2025.10.22 |
|---|---|
| 3차시-6강-GTPs 사용하기 (0) | 2025.10.22 |
| 3차시 - 멀티모달이란? (0) | 2025.10.22 |
| AI활용지도사 4차시 수업 - 텍스트 → 이미지 → 영상 (0) | 2025.10.22 |
| AI의 개요와 발전 과정: AI가 변화시킨 우리의 일상 (2) | 2025.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