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주도학습7

📌자기 주도 인생을 위한 설계도, 진로 로드맵 📌 [진로 스토리 만들기 7탄]자기 주도 인생을 위한 설계도, 진로 로드맵✨ 왜 아이들은 계획을 세우고도 다시 제자리일까?아이들이 초등 고학년, 중1쯤엔한 번쯤 “장래희망”을 적어본 기억이 있죠.하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그 꿈은 희미해집니다.왜일까요?"계획은 세우지만, 설계도는 없었기 때문!"우리 아이에게 필요한 건 바로꿈을 향한 로드맵입니다.🧠 진로 로드맵이 왜 필요할까?1984년 도쿄 마라톤 우승자 야마모토의 비결은?“지혜 때문입니다.”그는 출발~도착까지의 로드맵을 머릿속에 그리고중간 목표 하나씩만 바라보며 달렸어요.우리 아이 인생에도 이런 ‘중간 지점’이 필요해요.그게 바로 진로 로드맵!📋 진로 로드맵이란?항목설명목표 시기연도, 나이별 꿈과 계획필요한 자격자격증, 인증 등준비 공부독서, 학.. 2025. 4. 18.
📚 부모의 역할, 진짜는 이것입니다! 경기도 평생교육원에서 김성곤교수님의 수업을 들었어요.백세인생을 살 우리아이들을 위해서 부모가 어떻게 교육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주셨어요~ 1. 🎯 100세 시대, 부모의 프레임도 바꿔야 합니다!우리는 호모 헌드레드 시대, 즉 100세까지 사는 시대에 살고 있어요.과거처럼 20살에 대학 졸업하고 30년만 일하면 되는 게 아니라, 긴 인생을 아이가 스스로 살아갈 수 있게 도와줘야 해요.대학 졸업장이 주는 효과는 길어야 5년, 그 이후는 부모의 지지와 격려가 훨씬 큰 영향을 줍니다.2. 🧠 공부 잘하는 아이의 비밀은?유전도 물론 중요하지만, 환경의 힘이 큽니다."좋은 머리 + 좋은 환경 = 날개 달린 아이"엄마의 말투, 정서, 실패경험 공유가 아이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특히 자신을.. 2025. 4. 8.
📝 우리 아이, 공부 안 하려고 안 하는 게 아니었어요 안녕하세요, 학부모님들!오늘은 제가 들은 정말 인상 깊은 강의 내용을 나눠보려고 해요.“공부를 안 하려고 안 하는 게 아니라, 몰라서 못 하는 거다”이 한마디에 심장이 철렁! 울컥했습니다.혹시 요즘 우리 아이, 공부하라는 말에 예민하게 반응하고,스마트폰만 붙들고 있고,숙제도 대충 하는 것 같고,“너 언제 공부할 거니?” 물으면“엄마, 좀 그만해!” 하고 짜증부터 내나요?혹시...“내가 뭘 그렇게 잘못한 걸까...”속상하셨던 분들께 꼭 들려드리고 싶어요.아이들은 ‘안 하려는 게 아니라, 방법을 몰랐던 것’일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 통제? 초등까지는 가능! 그 이후는 ‘습관’이 답입니다초등학생까진 어플로 시간제한 OK하지만 중학생부터는 강제로는 안 됩니다.아이 스스로 "공부할 땐 무음으로 두기", .. 2025. 4. 8.
공부하는 아이와 적절한 대화 - 부모의 역할 모든 일에서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잖아요? 그런데 부모가 되는 일은 자식을 낳았으니 잘할거라는 기대감에서 사는 것 같아요.저는 아이를 임신한 순간부터 지금까지 한순간도 쉬운 적이 없었던것 같아요.이제 공부를 위해 싸우는 아이를 위해 부모로서 어떤 대응방법을 알려줘야 할지 공부 중입니다.  공부의 중요성에 대한 대화공부의 필요성: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부모의 역할: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자녀와의 소통이 중요하며, 자녀의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소통의 방법: 자녀에게 "공부를 왜 해야 한다고 생각하니?"와 같은 질문을 통해 대화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소통의 결과: 아이가 공부를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 대신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2025. 4. 2.
2022고교학점제 교과목 구조 선택과목 확대 2022 교육과정의 교과목 구조와 선택 과목 확대는 학생의 다양하고 주도적인 학습 경험을 돕기 위한 획기적인 변화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 과정에 대한 선택권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와 융합형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과 변화가 있습니다.1. 교과목 구조의 변화: 공통 과목과 선택 과목의 균형기존 교육과정에서의 공통 과목은 모든 학생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국어, 수학, 과학, 사회 등 주요 교과에서 공통 과목 비율이 높아, 모든 학생이 동일한 내용과 학습 수준을 경험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선택 과목은 일부 있었으나, 선택의 폭이 좁아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나 흥미에 따라 깊이 있는 학습을 하기 .. 2024. 11. 8.
2022교육과정과 2015교육과정의 차이점 2022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새로운 교육과정은 특히 학생 중심의 선택권 강화와 학습 과정에서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2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사항입니다.1. 교과목 구조와 선택 과목의 확대기존 교육과정에서는 공통과목과 일부 선택과목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교과목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선택 과목의 폭이 좁고, 학생들이 주로 공통으로 수강하는 과목이 많았죠.2022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의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융합 선택 과목’이 신설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습니다. 예를 들어, 인문-과학, 사회-기술 등 다양한 융합형 과목이 추가되어 진로 맞춤형 .. 2024.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