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듣자!182

사춘기 자녀와 소통하기 애지중지 곱게 곱게 키웠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요? 이쁘던 내 아이는 어디 가고 낯선 사람이 나타났어요. 친구 탓일까? 사회 탓? 내 탓인가? 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요? 부모라면 꼭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살아온 환경이 매우 다르다. 그래서 세상을 보는 시각, 가치관이 매우 다르다는 것입니다. 작게는 아이가 입은 옷차림이 맘에 들지 않습니다. 왜 저런 옷을 입을까? 왜 계절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을까? 아이 스스로가 건강에 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그냥 인정해 줍시다. 겪어봐야 아는 일들이 세상에 많으니까요. 만약 아이가 학교에 다니는 것이 너무 싫다고 말하면서 실행에 옮긴다면? 어떡해야 할까요? 그만한 이유가 있는지 꼭 물어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학교를 가기 싫어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 2024. 4. 9.
알고 있니? 랜딩페이지 사업을 하고 싶어요. 하지만 빈털털이 입니다. 그럼 포기 할까요? 빈털털이는 정령 아무것도 할 수 없나요? 쥐꼬리만큼있는 자본금 다 털어넣으면 마음이 편할까요? 쫄리는 마음으로 사업하면 성공할 수 있을까요? 만약 당신이 몫좋은 자리에 큰 매장을 꽁짜로 빌릴 수 있다면 무슨 사업을 해보고 싶으십니까? 자동으로 당신의 홍보물을 나눠주는 사람들이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다면 어떤 홍보물을 나눠주겠습니까? 랜딩페이지는 아주 쉽게 온라인 전단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팔고 싶은 그것을 팔게 해주는 장치 누구나 들고 다니는~ 하루에도 몇시간씩 시선을 빼앗고 있는 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당신의 사업을 알릴 수 있습니다. 2024. 4. 3.
초등 1학년 외계인인가요? 1학년 아이들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학교생활을 이제 막 시작한 1학년 학생들은 달리기 출발선에 서 있는 선수들과 같다. 잘하겠다는 의욕과 잘 할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공존하고 있다. 선생님은 학교생활 속에서 학생들이 어디로 가야할지 어떻게 해야할지 자세히 알려주고 "잘 할 수 있다" 격려해주고 열심히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어야 한다. 신체적 특징 딱딱한 이가 빠지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특별한 경험일 것이다. 또 비슷한 시기에 이가 빠지는 경험이 특별한 동질감을 느끼게 한다. 젓가락질, 단추 채우기, 우유팩 누르기, 가위질 등 소근육 활동이 아직은 야무지게 스스로 할 수 없지만 조금씩 더 발달하며 안정감을 찾아간다. 대근육과 소근육을 골고루 발달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줄넘기를 하는 .. 2024. 4. 2.
세자녀라면 될까요? 우리 아이 사회성 키우기 새 학기를 맞이하여 학교에 간 아이들이 잘 지내고 있나요? 우리 아이는 이제 학교에 입학해서 학교 안에서 길 잃어버려서 울기도 하고 낯설어서 딱딱하게 굳어있다가 집에 와서 피곤함에 일찍 자고 그러더라고요~ 이제 3주 정도 지나니까 조금 여유로워진 것 같아요~ 내 아이가 학교에 가면 이왕이면 친구들이랑 잘 지내고 선생님께도 이쁨 받는 아이로 컸으면 하는 마음이잖아요~ 어떻게 하면 내 아이가 학교가 즐거운 학교가 되고 사회 속에서 자기를 좀 인정받고 그러면서 더 나아가서 리더십도 좀 발휘할 수 있는 아이로 자랄 수 있을지 지금보다 어떤 점을 더 채워주면 좋을지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https://multiiqtest.com/ 다중지능검사 다중지능검사, 다중지능테스트, 직업적성테스트, 진로적성검사, 직업적성.. 2024. 3. 27.
진로를 대비하라! 어릴때 꿈이 뭐였나요? 저는 초등학교때까지는 꿈이 엄청 많았던 것 같아요.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저의 가능성을 믿었으니까요^^ 그럼 꿈이 왜 사라지게 됐을까요? 저의 경우 중학교에 들어가면서 영어가 너~무 어려워서 점점 나는 안될지도 몰라...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 같아요. 그 후에는 수학도 어려워지고 사회도 어려워지고 공부는 점점 다 어려워지고 서울대를 가겠다는 마음에서 인서울만 하자...에서 4년제는 갈 수 있겠지...하며 점점 좌절의 길에 서 있게 되었네요. 갑자기 너무 우울하네요... 우리 아이는 저와 같은 길을 걷지 않았으면 합니다. 어떻게 해야 다른 길을 가게 될까요? 저는 저의 삶에서 문제점으로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찾았습니다. 한가지 예로 저는 선생님이 되고 .. 2024. 3. 26.
미디어 문해력 세상을 읽는 힘 미디어리터러시 1차 미디어 세상 살펴 보기 뉴스를 보고 신문을 읽어도 이해하기 어렵고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알수 없는 상황 눈을 떠서 보기는 하는데 내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깨닫기 어려운 현실 내가 잘 읽고 잘 알아서 아이에게 잘 가르쳐주는 부모가 되자. - 미디어의 이해 media,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자극적인 제목으로 낚는 신문기사. 내용을 읽고 이해하지 않으면 제목과 사진으로만 보면 오해하기 쉬운 내용들이 많다. - 미디어리터러시의 개념과 필요성 미디어의 구조를 읽고 해독하는 능력이 미디어리터러시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삶에서 미디어를 접하지 않을 수 없고 소외되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퇴되는 삶이 된다. -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이해 미디어는 더이상 피해야하는 도구가.. 2024.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