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듣자!

공부 마법 4강 ✨ 글 읽기 마법

by 트릴리문 2025. 8. 20.
728x90
반응형

경기도에서 학생들을 위해 경기도교육복지종합센터(https://www.gew.kr/index.do)에서

여름학기 학생 온라인 수업을 진행합니다.

저희 아이는 초등학생 자기주도 공부법을 수강하는데요~

저도 아이 수업을 같이 듣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글 읽기, 왜 어려울까?

많은 친구들이 글을 읽을 때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라고 합니다.
그런데 글 읽기도 마법처럼 방법을 알면 훨씬 쉬워져요. 오늘은 글 속 보물을 찾아내는 다섯 가지 마법을 배워봅니다.


🪄 글 읽기 다섯 가지 마법

1. 그림 독해법 🖼️

  • 글을 읽을 때 머릿속으로 장면을 그리며 상상하기
  • 예: “고양이가 책상 위에 앉아 일기를 썼다” → 고양이가 연필 들고 앉아 있는 모습 상상하기

2. 표시하기 공부법 ✍️

  • 중요한 문장 = 밑줄
  • 중요한 단어 = 동그라미
  • 예: “겨울에 할 수 있는 놀이: 눈싸움, 썰매, 눈사람 만들기”
    → ‘겨울’, ‘놀이’, ‘눈싸움’ 등 표시하기

3. 모르는 단어 찾기 🔍

  •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앞뒤 문맥을 보고 뜻을 짐작
  • 사전·인터넷·어른에게 물어보며 확인하기
  • 예: “방멸” → 처음엔 ‘쥐를 없앤다?’라고 추측 → 사전에서 “모조리 잡아 없앰” 확인

4. 질문 만들기 ❓

  • 글을 읽으며 “왜 그럴까?”, “다음에는 어떻게 될까?” 질문 던지기
  • 그리고 글 안에서 답을 찾아보기
  • 이렇게 하면 글 속 이야기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5. 문단 나누기 📑

  • 단어 → 문장 → 문단 → 글
  • 들여쓰기(앞 칸 띄어쓰기) 부분이 새로운 문단의 시작
  • 문단마다 한 가지 주제가 담겨 있음
  • 예: 민속놀이 글 →
    • 1문단: 민속놀이의 뜻과 이유
    • 2문단: 재기차기
    • 3문단: 쥐불놀이
    • 4문단: 굴렁쇠
    • 5문단: 널뛰기
    • 6문단: 윷놀이

🌟 오늘의 정의

“글 읽기란 글 속에 숨은 마음과 뜻을 찾아내는 보물 찾기이다.”

글은 단순한 글자가 아니라, 그 안에 지혜·정보·마음·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읽는 방법을 알면, 글은 재미있는 보물 지도가 됩니다.


✏️ 오늘의 숙제

오늘 배운 다섯 가지 방법을 떠올리며, 책을 읽거나 글을 읽을 때 꼭 해 보기.

  • 머릿속으로 그림 그리기
  • 밑줄 긋고 표시하기
  • 모르는 단어 찾기
  • 질문 던지기
  • 문단 나누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