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도에서 학생들을 위해 경기도교육복지종합센터(https://www.gew.kr/index.do)에서
여름학기 학생 온라인 수업을 진행합니다.
저희 아이는 초등학생 자기주도 공부법을 수강하는데요~
저도 아이 수업을 같이 듣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수학,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질까?
특히 긴 응용문제는 읽기도 힘들고, 숫자만 보면 머리가 복잡해지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수학도 마법처럼 푸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비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 수학 문제 해결 6가지 마법
1. 개념 설명 마법 🧙
- 교과서·문제집 속 개념을 그냥 읽고 넘어가지 말고, 내 입으로 설명해 보기
- 거울 앞에서 선생님처럼 “최소공배수란~” “약수는~” 하고 말해보면 머릿속에 정리가 된다.
2. 꾸준한 문제집 마법 📚
- 매일 연산 문제집 + 교과 문제집 풀기
- 틀린 문제는 그냥 넘어가지 말고 다시 풀기
- “틀린 문제를 내 입으로 설명” → 진짜 내 것이 된다.
3. 소리 내어 읽기 마법 🔊
- 긴 문제는 눈으로만 보면 훅 지나간다.
- 입으로 읽고 귀로 들으면 집중력 + 이해력이 올라간다.
- 시험 때는 소리 못 내도, 연습한 효과가 머릿속에서 살아난다.
4. 이야기로 바꾸기 마법 📖
- 숫자만 덩그러니 있으면 어렵다 → 이야기로 바꾸기
- 예: “12 ÷ 3” → “사탕 12개를 3명이 나눠 먹는다” → 그림으로 상상하기
- 그림·이야기로 풀면 훨씬 쉽다.
5. 수업 참여 마법 🙋
- 교실 수업 = 최고의 무료 과외
- 발표·질문·필기 적극 참여 → 배운 개념이 머릿속에 쏙 들어온다.
- 단순히 받아 적지 말고, 내 말로 요약해보기.
6. 오답 노트(풀이 노트) 마법 ✏️
- 틀린 문제를 그대로 두면 같은 실수 반복!
- 어떤 문제였는지, 어떤 개념을 적용했는지, 어디서 실수했는지 기록하기
- 손으로 쓰는 건 귀찮지만, 그만큼 머리에 오래 남는다.
🔍 문제 해결 알고리즘
- 문제를 소리 내어 천천히 읽기
- 이야기·그림으로 바꿔 이해하기
- 중요한 조건에 동그라미 치기
- 적용할 개념 생각하기
- 식 세우고 계산하기
- 답을 다시 문제에 넣어보기 (검산)
🌟 오늘의 정의
“수학 공부란 문제 속에 숨어 있는 질서를 찾아내는 탐정 놀이이다.”
숫자 뒤에 숨어 있는 규칙을 찾는 순간, 수학은 훨씬 재미있어진다!
✏️ 오늘의 숙제
- 오늘 배운 수학 개념 하나를 직접 설명해 보기
- 또는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고, 선생님처럼 설명 영상 찍어보기
728x90
반응형
'수업듣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시 이칠러 & 비트겐슈타인의 성공과 삶 철학 (2) | 2025.08.20 |
---|---|
공부 마법 4강 ✨ 글 읽기 마법 (2) | 2025.08.20 |
공부 마법 3강 ✨ 집중 보호막 생성술 (1) | 2025.08.20 |
공부 마법 2강 ✨ 시간 정렬 마법진 (2) | 2025.08.20 |
공부 마법 1강 ✨ 공부 목적 소환술 (2) | 2025.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