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듣자!

🌍 글로벌 시대 – 자존감, 다름의 인정 그리고 행복의 조건

by 트릴리문 2025. 4. 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글로벌한 학부모 이야기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재치 있고 따뜻하게 정리해보려고 해요.

너무 좋은 말씀이 많아서, 마음이 콩닥콩닥했답니다. 😊

🌱 우리 요즘 어떤 감정으로 살고 있나요?

강사님께서 첫 질문을 이렇게 던지셨어요.

"요즘 '설렘'이라는 단어, 기억나세요?"

헉. 문득 나도 깜빡하고 있었네요. 열심히 산다는 핑계로 설렘, 기쁨, 행복, 즐거움을 깡그리 잊고 살고 있었던 건 아닌지... 반면 요즘 사람들이 자주 느끼는 감정은 두려움, 고통, 시련, 좌절, 미움이라는 말씀에 고개가 끄덕여졌어요. 여러분은 어느 쪽 감정이 더 많은가요?

🍲 인생은 감칠맛! 한 가지만으론 못 살아유~

강의에서 가장 인상 깊은 말!

"인생의 진짜 맛은 ‘감칠맛’입니다!"

매일 단맛만 나면 그것도 질리잖아요? 쓴맛, 짠맛, 신맛도 조금씩 있어야 인생이 더 깊어지고 감칠맛 나는 거죠.

힘든 일도 "이 또한 지나가리"라고 생각해보면 조금 견딜 힘이 나지 않을까요?

😌 자존감 vs 자존심, 뭐가 더 중요한가요?

자존심은 "남과 비교하는 마음", 자존감은 "나 자신과 싸우는 마음"이라고 하셨어요.
그래서 자존심은 올라가도 자존감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네요.

우리 아이에게 필요한 건 자존심이 아니라 자존감이라는 것, 잊지 말아요!

🧠 자존감은 의식보다 무의식에서!

아이의 겉모습, 겉말만 보고 판단하지 말래요.
**의식은 단 10%, 무의식이 90%**라는 말이 팍 꽂혔어요.
아이가 왜 그렇게 말하고 행동했는지, 그 안에 숨은 감정과 욕구를 바라보는 눈이 필요하다고 하셨죠.

💡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의 세 가지 역할

  1. 비교하지 말기 – 형은 안 그랬어, 친구는 잘했어... 이 말들이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남긴대요.
  2. 과거에 집착하지 말기 – 그땐 그랬지~는 그냥 추억으로 남겨두자고요.
  3. 미리 걱정하지 말기 – 걱정의 96%는 쓸데없는 걱정! 지금 현재에 집중합시다!

💖 사랑은 표현할 때 힘이 된다

사랑은 무조건 말해야 전달된대요!
여자아이에겐 관심, 배려, 지지,
남자아이에겐 인정, 격려, 칭찬이 사랑의 언어라고 하셨답니다.

💬 솔라(SOLER) 법칙 – 아이와 대화할 때 요령!

  • S: 정면으로 마주 보기
  • O: 열린 자세
  • L: 몸을 기울여 가까이
  • E: 눈 맞추기
  • R: 편안한 태도로 듣기

이 다섯 가지만 지켜도 아이는 “엄마가 진짜 내 얘기를 들어주는구나” 느낀다네요.

🧘‍♀️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변하지 않으면 아이도 변하지 않습니다."

진짜... 찐이죠?
아이를 바꾸고 싶다면 부모가 먼저 바뀌어야 해요.
내 생각, 내 말, 내 행동 하나가 아이에게 깊이 각인된다는 것.
그걸 기억하는 게 부모로서의 첫걸음 아닐까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