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책2

6차시 - 그림책 융합 지도사 - 예술 1) 큰 줄기 요약생명존중 교육 = 체육·예술의 ‘감상 중심’ 접근서구 예술교육은 음악은 듣기, 미술은 보기(감상)가 먼저. 연주·그리기는 그다음 단계.이미지의 역사: 동굴벽화(의식이 개입된 이미지) → 회화(사실적 재현) → 사진(초사실) → 영화(시간·운동성 추가) → 오늘날 애니메이션·게임까지 예술 범주 확장(제1~제10 예술).핵심 관점: 예술은 “대상을 선택하고 표현 방식을 고르는 의식의 개입”이다. 그래서 같은 사물도 작가마다 다르게 보이고 들린다.2) 예술 장르 지도(헤겔·카뉴도)헤겔의 미학: 상징적(건축), 고전적(조각), 낭만적(회화·음악·시).전통 ‘육예술’: 연극·회화·무용·건축·문학·음악.1911 카뉴도: 영화 = 제7예술 선언 → 이후 **사진(8), 애니(9), 게임(10)**까.. 2025. 10. 22.
그림책, 그냥 읽는 게 아니라 ‘만져야’ 제대로 보인다! 1. 왜 그림책 ‘물성’이 중요한가?그림책은 단순히 글과 그림만 보는 게 아니에요.책 자체—겉표지, 띠지, 면지, 바코드까지—가 이야기의 일부랍니다.아이와 함께 책을 만지고, 펼치고, 뜯고(!) 경험할 때 감성이 폭발하고, 책은 놀이가 돼요. 2. 그림책 물성 탐험 포인트① 겉사개(더스트 재킷)단순한 보호용 종이가 아님!포스터로 변신하거나, 뜯어야만 메시지가 보이는 책도 있어요.예: 〈나는 한때〉 → 뜯어야 글씨가 드러남.② 띠지(OBI)광고? No~ 숨겨진 장치!예: 〈나의 엄마〉 → 세로 띠지를 벗기면, 엄마가 손을 잡고 있는 연출.〈곰돌이 팬티〉 → 띠지가 곰돌이 팬티, 벗겨야만 책을 읽을 수 있음! 😂③ 앞·뒷표지 & 책등사람의 얼굴 같은 존재.앞뒤가 이어진 장면이 숨어 있거나, 뒷표지에서 스토.. 2025.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