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자!

밥 프록터의 '부의 원리' -가난을 끊어내자!

by 트릴리문 2025. 11. 10.
728x90
반응형

밥 프록터(Bob Proctor)의 저서 '부의 원리(The Science of Getting Rich)'에 담긴 핵심적인 성공 철학을 해설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운명론을 부정하고, 잠재의식 속의 '가난의 패러다임(오래된 부정적 신념)'을 '부의 신념'으로 교체하며,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원하는 삶을 창조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핵심 주제 1: 잠재의식 속 '기존 세입자' 내보내기

  • 운명론 부정: 부자가 될 운명이나 팔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합리적인 의심을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합니다. 부유한 사람들은 부자가 될 운명이라서가 아니라, 부를 얻고 유지하고 키우는 일에 몰두했기 때문에 부유합니다.
  • 명도(明渡)의 비유: 경매 낙찰 후 기존 세입자를 이사시키는 '명도'처럼, 성공하려면 뇌 속에 자리 잡은 기존의 강력한 믿음(부정적/제한적 신념)을 내보내고 새로운 신념(성공/부의 신념)을 들여야 합니다.
  • 기존 신념의 정체: "나는 절대 연봉 1억을 받을 수 없다"와 같은 강력한 믿음이 잠재의식이라는 집에 뿌리내려 현재의 삶과 현실을 재생하고 있습니다. 이 믿음은 텃세를 부리며 새로운 신념(소원)을 밀어냅니다.
  • 패러다임 전환의 어려움: 기존 신념은 오랜 시간 자리를 지켜왔기에 완력으로 하루아침에 끌어내는 것은 어렵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 과정이 길고 지친다며 '타고난 팔자나 운명'을 핑계로 합리화하고 결정론에 의지합니다.
  • 극복 방법: 새로운 신념을 뚝심 있게, 강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밀어붙여야 합니다. 원하는 것을 쓰고, 읽고, 상상으로 시각화하는 작업이 이에 해당합니다.
  • '정신적 감옥' 비유: 오래된 믿음의 한계 안에서 살기로 선택한 사람은 영화 '쇼생크 탈출'의 죄수처럼 자유를 향한 꿈을 잃은 채 정신적 감옥에 갇혀 삽니다. 이 감옥은 인간의 본능(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을 억눌러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 핵심 주제 2: 목표의 비현실성과 마인드의 힘

  • 인과관계의 재정립: 마라톤 완주의 예시에서, '해보겠다는 의지'가 원인이고, '연습'이 그 결과이며, '완주'는 수많은 결과들의 결승선일 뿐입니다. 강력한 의지 없이는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 마인드의 엄청난 힘: 우리 마인드는 현실로 만들고자 하는 것을 끝내 눈앞에 가져다 놓으며, 이는 망상 활성화 체계(RAS)와도 연결됩니다.
  • 자신이 삶의 연출가: 자신의 삶에서 단순히 주연이 아니라 '연출하는 감독'이자 주연 배우가 되어야 합니다.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살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주연 자리를 내주게 됩니다.
  • 일의 즐거움: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그 일을 진심으로 즐기며 일 자체가 보상이 됩니다. 진짜 부자들은 은퇴를 입에 올리지 않으며, 일이 좋아서 계속합니다.
  • 저축에 대한 관점: 노후를 위해 저축해야 한다는 발상은 '미래의 원하는 삶을 살 돈을 비축하기 위해 지금 살고 싶은 삶을 포기하는 것'이며 주객이 전도된 논리입니다. 대신, 나이가 들어도 지속적으로 평생 돈이 나올 소득원을 만드는 데 돈과 에너지를 써야 합니다.
  • '평균의 삶' 경계: '평균의 삶'에 안주하는 태도는 목표를 '현실적으로' 만드는데 치명적이며, 가능성을 '획득 가능성'으로만 인지하게 만듭니다.
  • 진짜 목표 설정: 한계라는 개념을 모른다고 가정했을 때 잡을 목표, 그것이 진짜 목표입니다. 매달 50만원씩 모으는 것은 목표 달성이 아닌 '스케줄 이행'입니다.

 

🌀 핵심 주제 3: 끌어당김의 법칙과 구체적 시각화

  • 끌어당김의 법칙: 이 법칙은 긍정/부정을 필터링하지 않고 지금도 24시간 가동 중이며,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을 여러분 눈앞에 가져다 놓습니다.
    • 책임감: 지금까지 당신에게 일어난 일은 모두 당신이 끌어들인 것이며, 다른 누구도 아닌 당신의 책임임을 인정해야 합니다.
    • 에너지 파동: 당신이 무언가를 생각할 때마다 당신이라는 에너지가 시동을 걸고 비슷한 종류의 에너지를 끌어들입니다.
    • 잠재의식의 역할: 잠재의식은 도덕관념 없이 여러분이 집중한 것을 눈앞에 가져다 놓을 뿐입니다.
  • 현실 직시: 현재 자신의 삶(주변 사람, 소득 수준, 일의 방향)에 대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답(합리화하지 않은 답)을 적어보세요. 그 답이 여러분의 생각과 신념으로 끌어들인 현실입니다.
  • 환경의 중요성: 주변에 부정적인 것을 전파하는 요소가 있다면 그 환경을 바꾸거나, 차라리 고립되어 부정적인 에너지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합니다.
  • 구체적인 이미지: 긍정에 집중하고 있음에도 변화가 없다면, 정확히 무엇을 원하는지 구체적인 이미지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결승선 그리기: 결승선이 없으면 달릴 준비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미친 디테일로 구체적인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 과거형 묘사: 목표를 달성한 여러분을 마치 과거에 성취한 것처럼 과거형(긍정형)으로 적어보세요. (예: "나는 2025년까지 하루 매출 1000만원을 달성했었지.")
    • 세세한 상상: 가지고 싶은 집, 일하는 모습, 가족과의 저녁 식사 등 진열장 안 머그컵 하나까지 세세하게 상상해야 합니다.
  • 지속적인 실천: 이 구체화 작업을 적어도 30일간 지속하여, 이후에는 자동으로 스위치가 켜지듯이 잠재의식이 작동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 '돈그릇'의 정의: 돈그릇은 여러분의 강한 믿음과 신념의 크기입니다. 믿음을 바꾸지 않는 한 잠재의식은 계속 그 방향으로 믿어 버립니다.
  • 결론: 삶의 질은 오로지 생각의 질에 달려 있습니다. 부정적인 생각을 수정하는 과정에는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며, 돌아갈 길은 없다는 각오로 임해야 합니다. 믿는 대로 보이고, 그 반대는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