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듣자!

🧠 IQ와 공부 머리: 후천적 환경의 중요성

by 트릴리문 2025. 10. 31.
728x90
반응형

1. IQ와 공부 머리의 관계

  • IQ (지능 지수): 포괄적인 지적 능력을 나타냅니다. 평균은 100이며, 약 70%의 사람이 70에서 130 사이의 평범 범위에 속합니다.
  • 공부 머리: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뇌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지칭합니다.
  • 리처드 리스벳 교수의 연구 (가능성):
    • IQ 115 ~ 139: 명문대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음.
    • IQ 130 ~ 145 (멘사 구간): 사회적 리더가 될 가능성이 높음.
    • 결론: 공부 머리가 우수할수록 학업적, 사회적 성공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후천적 노력에 의한 지능의 변화

  • IQ는 변한다: 한국에서 IQ가 불변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지만, 연구 결과 IQ는 후천적인 환경에 의해 크게 변화합니다.
  • 쌍둥이 연구 결과: 유전자가 동일한 쌍둥이가 각기 다른 가정 환경에 입양될 경우, 평균적으로 IQ가 17점까지 차이가 났습니다.
    • 17점의 의미: 평균(100)이었던 아이가 117이 되면 명문대 진학 가능성이 커지고, 이미 명문대 가능성이 높았던 아이가 17점이 오르면 멘사 회원이 될 가능성이 커지는 등 인생의 경로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매우 큰 변화입니다.
    • 결론: 타고난 유전자보다 부모가 제공하는 후천적 환경이 아이의 삶을 결정하는 데 훨씬 중요합니다.

3. 🤔 뇌는 '깜지'가 아닌 '퍼즐 맞추기'로 작동한다

비효율적 학습 방식 (과거/현재 대중) 효율적 학습 방식 (공부 머리)
창고에 짐 넣기 (깜지/반복 암기) 퍼즐 맞추기 (이해/연결)
지식(블록)을 뇌(창고)에 반복적으로 쑤셔 넣어 외움. 새 지식(블록)을 이미 알고 있는 배경 지식(퍼즐 판)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하고 끼워 넣음.
결과: 단기 기억 후 쉽게 망각되며, 필요할 때 지식을 꺼내기 어려움 (냉장고 속 검은 비닐봉지). 결과: 망각이 잘 일어나지 않음 (지식들이 서로 맞물려 고정됨) & 연상을 통해 쉽게 인출 가능.
  • 공부의 핵심: 공부는 단순히 외우는 작업이 아닌, 이해라는 처리 과정을 훈련하는 것입니다.

 

4. 🚀 공부 머리를 키우는 핵심 전략: '처리하는 뇌' 훈련

뇌는 기억하는 뇌처리하는 뇌로 나뉘는데, 공부 머리가 좋다는 것은 처리하는 뇌 (CPU)가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처리하는 뇌의 역할: 들어온 정보를 내가 필요한 방식으로 변환하고 연결하는 능력 (어느 위치에 들어가야 할지 파악).
  • 성적이 떨어지는 이유: 학습량이 증가하는 중고등학교에서 단순 암기만 하던 아이들은 이 처리하는 뇌가 발달하지 않아 로딩이 걸리고, 들어오는 방대한 지식을 소화(처리)하지 못해 뒤처집니다.
  • 해결책: '왜?' 질문하기:
    • 새로운 지식을 접했을 때 "왜 그렇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며 고민해야 합니다. 이 질문을 통해 뇌는 새로운 지식과 기존 지식 간의 연결(시냅스)을 만들고, 이해력(처리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 선생님의 설명(결과)만 듣지 않고, 스스로 고민(과정)하는 것이 공부 머리를 발달시키는 핵심입니다.

 

5. 🎯 공부 머리 솔루션 (습의 3단계 실천)

공부 머리(처리 능력)를 발달시키기 위해 평소 학습 습관을 이렇게 바꾸어야 합니다.

  1. 평소: 이해하는 공부에 집중 (암기를 최소화).
    • 실천: 읽고, 왜 그런지 생각하고, 연결하는 활동.
  2. 시험 기간 (2~1주 전): 암기하는 공부에 집중.
    • 실천: 이미 이해된 내용을 바탕으로 반복하여 암기.
습의 3단계 평소 공부 습관에 적용
1. 읽기 (문해력) 교과서, 참고서 등을 스스로 정독하며 내용을 파악.
2. 말하기 (하브루타) 읽은 내용을 친구/가족에게 설명하거나 혼잣말로 정리.
3. 쓰기 (정리/요약) 선생님 필기를 베끼는 것이 아니라, 읽고 이해한 내용을 나의 언어로 노트에 요약하고 정리.
  • 선행 학습의 함정: 본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하는 선행(특히 중위권 이하)은 결국 이해 없는 암기로 이어져 공부 머리 발달을 방해하고, 학습량이 늘어나는 고등학교에서 성적이 역전되는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이해 중심의 처리 능력을 기르는 공부는 단순히 입시를 넘어, 사회생활에서 새로운 과업을 고민하고 해결하는 능력, 즉 평생 사용할 두뇌 능력을 기르는 기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