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융합지도사4 2차시 그림책의 구조 그림책의 구조·역사·장르·세계 그림책상 이해1. 강의 흐름 개요이번 강의는 지난 시간 “세계 그림책 역사”에 이어 한국 그림책 역사 + 그림책 구조 + 문학 용어 구분 + 세계 대표 그림책 상을 다룬 강의였다.2. 한국 그림책 역사 정리 (4기 체제)구분시기특징1기조선 시대 ~ 1910년 이전‘그림책 효시’ = 삼강행실도(그림 + 도덕 교훈)2기1910~1987년일제강점기~해방~근대 전래동화 수집3기1988~1999년저작권 협약 가입(1987) + 88올림픽 영향 → 정식 그림책 시장 형성4기2000년 이후그림책 다양성 폭발, 전집시장 성장, 창작 그림책 시대✅ 87년이 중요한 이유① 세계지적재산권협약 가입 → 해적판 시대 종료② 88올림픽 문화자존감 상승③ 국내 창작그림책 본격 출발3. 전래·민담·우화.. 2025. 10. 23. 4차시 전통그림책 이번 강의에서는 그림책의 세 가지 영역을 다뤘어요:옛 이야기(전래동화)패러디 그림책역사 그림책그리고 각 그림책을 수업이나 강의에 활용하는 방법까지 안내한 내용이 핵심입니다. 1. 옛 이야기(전래동화)✅ 핵심 개념옛 이야기는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가 담긴 이야기이며 세대를 거쳐 구전되어 내려온 이야기.그림 형제 동화, 페로 동화, 안데르센 동화 등이 대표적.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형태의 이야기가 존재함 (예: 신데렐라 ↔ 콩쥐팥쥐).✅ 그림 형제 동화야콥 & 빌헬름 그림 형제는 원래 언어학자.독일 민족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각 지역 옛이야기를 수집.초기 동화는 잔혹하고 현실적이었음. (예: 신데렐라 언니의 발가락을 자르는 장면) 2. 패러디 그림책✅ 패러디란?원작을 비틀어 새로운 의미를 만든 창작.기존 이야기.. 2025. 10. 22. 5차시 - 심리·정서 그림책 수업 그림책은 아이(그리고 어른)의 감정·관계·삶을 “짧고 강하게” 건드리는 최고의 매체다. 주제는 가족→친구→소통→죽음·인생→감정 순으로 확장하고, 매 시간 ‘읽기+대화+작은 활동’의 3스텝으로 설계하면 된다. 1) 왜 그림책으로 심리·정서를 다루나?짧지만 깊다: 한 컷, 한 문장이 마음을 즉시 건드림.비치료적 접근: ‘테라피’ 용어 없이도 자연스런 회복과 성찰이 일어남.전 연령 호환: 유아~시니어까지 같은 책을 각자 언어로 대화 가능.교과 연계도 OK: 저학년의 “나-가족-마을-나라-세계” 확장 구조와 찰떡. 2) 커리큘럼 큰 그림 (2회차 예시)1회차: 가족(핵심) → 파생 주제(돌봄·치매·다양한 가족 형태)2회차: 친구 → 소통 → 죽음·인생 → 감정(감정색·감정언어)각 주제는 “읽기 10분 → 대화 .. 2025. 10. 22. 6차시 - 그림책 융합 지도사 - 예술 1) 큰 줄기 요약생명존중 교육 = 체육·예술의 ‘감상 중심’ 접근서구 예술교육은 음악은 듣기, 미술은 보기(감상)가 먼저. 연주·그리기는 그다음 단계.이미지의 역사: 동굴벽화(의식이 개입된 이미지) → 회화(사실적 재현) → 사진(초사실) → 영화(시간·운동성 추가) → 오늘날 애니메이션·게임까지 예술 범주 확장(제1~제10 예술).핵심 관점: 예술은 “대상을 선택하고 표현 방식을 고르는 의식의 개입”이다. 그래서 같은 사물도 작가마다 다르게 보이고 들린다.2) 예술 장르 지도(헤겔·카뉴도)헤겔의 미학: 상징적(건축), 고전적(조각), 낭만적(회화·음악·시).전통 ‘육예술’: 연극·회화·무용·건축·문학·음악.1911 카뉴도: 영화 = 제7예술 선언 → 이후 **사진(8), 애니(9), 게임(10)**까.. 2025. 10. 22. 이전 1 다음